취미/인문&교양 서재 3

린치핀

1. 게임의 룰이 바뀌고 있다 공장(산업혁명, 자동화)은 자신의 천재성을 묻어버리고 꿈을 포기하고 공장의 피고용인이 되어 시키는 대로 사는 삶에 만족하도록 수많은 사람들을 세뇌시켰다. 공장일은 "시키는 대로 따르기만 하면 생각(창조, 예술 활동)할 필요가 없다."고, 그러면 어떤 책임도 질 필요가 없다고 약속한다. 그러면 우리는 독재자가 명령하는 대로 무조건 따르는 겁쟁이 시민이 되기를 자처한다. 즉, 자신의 자유와 책임을 포기하는 것이다. 공장에서 일을 한다는 것은 결코 자연적인 상태가 아니며, 인간이 되기 위한 핵심 조건도 아니다. 그런데도 우리는 문화적 세뇌를 통해 자신의 일에 책임을 지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 단 하나의 유일한 길이자 최선의 길이라고 믿게 된다. 그러나 공장은 죽었다. 이제 우리에게..

1등의 통찰

제1강 사람은 의외로 깊이 생각하지 않는다. A. 통찰을 방해하는 9가지 습관 1. 현상의 반대를 결론으로 삼는 습관 2. 일반론에 만족하는 습관 3. 프레임워크에 의존하는 습관 4. 카테고리에 빠지는 습관 5. 키워드에서 생각을 멈추는 습관 6. 초기 가설을 고집하는 습관 7. 생각하는 목적을 잃어버리는 습관 8. 프로세스만 돌리려는 습관 9. 주체성을 잃어버리는 습관 B. 구체적이지 않은 생각 B.1. 현상의 반대를 결론으로 삼는 습관 ex) 피곤하다 -> 휴가를 내자 ex) 제품이 잘 안 팔린다 -> 어떻게든 팔아야 한다 B.2. 일반론에 만족하는 습관 ex) 살이 쪘다 -> 식사량을 줄이자, 운동을 하자 C. 딜레마에 빠지는 생각 습관 C.3. 프레임워크에 의존하는 습관 정보를 정리한 뒤, 그것으..

미움받을 용기 정리

시작하며 본받아야 할 태도 - "조금이라도 이상한 점이 발견되면 그 잘못을 바로잡아드리려고요. ......불편하십니까?" _p.9 - "선생님의 의견을 덮어놓고 부정할 생각은 없습니다." _p.10 - "나는 피하지도 숨지도 않을 걸세. 천천히 의견을 나눠보도록 하지." _p.14 - "자, 저쪽에 있는 서재로 가세. 긴 밤이 되겠군. 뜨거운 커피라도 마시자고." _p.15 각자의 세상 "인간은 누구나 스스로 의미를 부여한 주관적인 세계에 살고 있지." _p.12 ex) 우물의 온도는 일정한데 여름, 겨울에 각각 차갑다, 따듯하다고 느끼는 것 _p.13 ex) 인간이 세계를 인식하는 방법, 로봇이 세계를 인식하는 방법 _뇌피셜